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this 객체
- useRef
- CSS
- FrontendStydy
- Props
- 이벤트핸들링
- 메소드 실행
- 리액트
- 비동기함수
- frontendstudy
- JavaScript
- DOM
- 배열
- webProject
- 이벤트
- typeScript
- input
- promise
- callback함수
- 배열메소드
- 렌더링
- REACT
- addEventListener
- 컴포넌트
- 자바스크립트
- HTML
- Frontend Study
- useState
- try.. catch
- 함수 실행
- Today
- Total
목록배열메소드 (2)
이다닷

객체 리터럴 객체를 구성하는 속성의 이름과 실제 값을 한 쌍으로 묶어 표현하는 '객체 리터럴'을 이용하면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. 이때 속성의 이름을 키(key), 속성의 실제 값을 밸류(value)라고 한다. const cat = { name : "국희", town : "부천" } => name과 town은 키, "국희"와 "부천"은 밸류! 📌키는 중복될 수 없다. 그러나 밸류는 같은 것이 있어도 상관 없다. 속성 참조하기 객체 안의 속성 값을 참조할 때에는 도트(.) 연산자 또는 대괄호([])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다. // 도트 연산자 사용 console.log(cat.town) cat.scratch() // 대괄호 연산자 사용 console.log(cat['name']) cat['eat']() 스..

Element.classList 웹 요소로부터 클래스 콜렉션을 반환하는 읽기 전용 속성이다. 사용방법 const 이름 = document.querySelector('이름') 메소드 종류 메소드 기능 사용 예 add 지정한 클래스 값 추가 add("new_class") remove 지정한 클래스 값 제거 remove("old_class") item 인덱스를 이용해 클래스 값 반환 item(1) toggle 클래스 값 토글링(=있으면 제거, 없으면 생성) toggle("some_value") contains 지정한 클래스 값 존재 여부 확인 contains("is_contains") replace 기존 클래스를 새 클래스로 대체 replace("old", "new") 배열의 개념과 사용법 배열이란? 배열은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