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vaScript
[JavaScript] Day 7 - 연산 그리고 연산자
이다닷
2023. 1. 17. 20:00
연산
연산이란 '식이 나타낸 일정한 규칙에 따라 계산함'을 뜻한다.
사용자는 자바 스크립트 코드를 통해 연산을 처리하는 식을 만들 수 있고, 여기에 사용하는 기호를 '연산자'라 한다!
산술 연산
산술 연산은 더하기, 빼기 등 수를 이용한 계산이다.
두 개의 숫자 데이터를 피연산자로 받아서 하나의 숫자 데이터를 결과로 반환한다.
의미 | 연산자 | 예제 |
더하기 | + | 2 + 2 -> 4를 반환 |
빼기 | - | 5 - 2 -> 3을 반환 |
곱하기 | * | 3 * 2 -> 6을 반환 |
나누기 | / | 1 / 2 -> 0.5를 반환 |
나머지 | % | 12 % 5 -> 2를 반환 |
결과의 반환
산술 연산을 처리하는 식을 사용하면, 해당 식은 연산 결과를 반환한다.
즉, 식이 데이터로 대체된다!
📌실제 코드가 바뀌는 게 아닌, 실행 시에 결과가 반영된다는 뜻!
대입 연산
대입 연산은 오른쪽 피연산자의 데이터를 왼쪽 피연산자에 대입한다.
왼쪽 피연산자는 주로 변수나 상수가 자리하며, 오른쪽 피연산자로는 데이터 또는 데이터를 반환하는 식이 자리한다.
의미 | 예제 | 예제 풀이 |
대입하기 | a = b | 값 b를 변수 a에 대입 |
더하여 대입 | a += b | 변수 a의 값에 b를 더한 결과를 a에 대입 |
빼서 대입 | a -= b | 변수 a의 값에서 b를 더한 결과를 a에 대입 |
곱하여 대입 | a *= b | 변수 a의 값에 b를 곱한 결과를 a에 대입 |
나누어 대입 | a /= b | 변수 a의 값을 b로 나눈 결과를 a에 대입 |
연산자 우선순위
하나의 구문에 여러 개의 연산자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.
이 경우 연산자 우선순위가 반영되어 우선순위가 높은 것부터 계산된다.
아래에 주요한 예시들이 있다.
1️⃣ 1 + 3 * 2 - 2;
-> 곱하기, 나누기가 더하기, 빼기보다 우선순위가 높다.
2️⃣ 변수 = 1 + 2 + 3;
-> 대입 연산은 대입 연산자 오른쪽에 있는 식보다 무조건 나중에 처리된다.
오늘의 실습 1
console.log(3 + 4) // 변수 합
console.log(3 - 4) // 변수 차
console.log(3 * 4) // 변수 곱셉
console.log(3 / 4) // 변수 나눗셈
console.log(3 % 4) // 변수 나머지
실습의 결과 1
오늘의 실습 2
let result = 3
result += 3 // result + 3
console.log(result)
result = 3 // reset
result -= 2 // result - 2
console.log(result)
result = 3 // reset
result *= 2 // result * 2
console.log(result)
result = 3 // reset
result /= 2 // result / 2
console.log(result)
result = 3 // reset
result %= 2 // result % 2
console.log(result)
실습의 결과 2